□ 게스탈트 이론
- 개요
게스탈트 이론은 치료를 위한 심리학에 기본을 두고 있고 형태를 지각하는 방법을 보고 실험대상자의 상태를 연구하는 이론입니다.Gestalt는 형태(form, shape)의 뜻을 가진 독일어이며, 게스탈트는 전경(figure)과 배경(background)으로 나뉩니다.
사람들은 어떤 사물을 시각적으로 파악할 때 시각적 부분 요소들이 이루고 있는 세력의 관계를 우세한 것과 그렇지 않은 것으로 분화시켜서 지각하려는 본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때 세력이 우세하게 보이는 부분을 전경(figure), 그렇지 않은 부분을 배경(ground)라고 합니다.이와 같은 전경과 배경의 분화현상은 ‘Rubin의 컵’을 통해 잘 설명됩니다.
컵으로 보일 때는 흰 부분이 전경, 검은 부분이 배경이게 되고, 마주보고 있는 사람으로 보일 때는 그 반대가 됩니다.우리는 전경과 배경의 교체를 통해 컵으로 혹은 사람으로 인식할 수 있습니다.
- 형태심리학(Gestalt Psychology)의 형태조직원리
① 근접의 원리
② 유사의 원리
③ 공동운명의 원리
④ 연속방향의 원리
⑤ 폐쇄의 원리
□ 빌딩정보모델링(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 개요
건축물에 발생하는 정보를 통합 관리하는 기술입니다.
건축설계를 기존평면(2D)에서 입체(3D)로 한 차원 높임으로써 건물설비 교환주기를 파악할 수 있고, 에너지소비량이나 단열성능 등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해줍니다.
각 과정을 시뮬레이션으로 보여주기 때문에 시설공사에 이를 도입하면 설계과정부터 잘못된 부분을 수정할 수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설계변경요인이 줄어 공기가 단축되고 비용절감 효과도 크다.
빌딩 객체들인 벽 · 슬래브 · 창 · 문 · 지붕 · 계단 등 각각의 속성을 표현하여 서로의 관계를 인지하고 건물의 변경요소들을 즉시 반영하고, 이를 통해 건물생산의 전 과정에 빠르고 저렴하며 더 좋은 건물을 생산할 수 있게 해줍니다.
이는 BIM이 건설생애주기에 초점을 두고 프로젝트별, 프로세스별로 정보의 호환, 공유를 통해 모든 단계의 정보를 통합관리하고 활용하며, 사업성을 극대화하고 경제적손실을 최소화하기위한 시스템이라 할 수 있습니다.
- 특징
① 2D 정보를 3D의 입체설계로 전환하고 건축과 관련된 모든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연계하는 시스템은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이다.
② BIM은 3차원 디지털 설계(3차원 CAD)작업을 기반으로 한다.
③ BIM설계를 기반으로 구조, 환경, 공정 및 원가분야 업무 등에 활용될 수 있다.
④ 설계 자료의 공유 및 재활용을 촉진한다.
⑤ 다양한 설계분야, 설계참여자 간의 조기협업이 가능하다.
⑥ 설계변경 시 수정에 따른 결과물의 예측이 용이하다.
⑦ 설계, 구조, 설비 등 팀 작업에 의하여 종합적인 시각화가 가능하다.
⑧ 건축설계에 포함된 포괄적 정보를 담고 있다.
⑨ 건물모델을 파라메트릭 객체를 이용하여 만들 수 있도록 한 것이다.
⑩ 설계단계에서 설계오류와 시공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⑪ 설계단계에서 공사비 산출이 가능하다.
□ 오스카 뉴먼의 방어공간이론
- 개요
뉴먼의 방어 공간개념은 건축형태를 이용하여 범죄로부터 공영주택을 보호하려는 시도 입니다.
건축가로서 뉴먼은 공영주택프로젝트의 설계가 거주자에게 공적영역에 대한 책임을 지지 않게 하고, 범죄자를 배제시키기 위한 정상적인 영역적 본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된다고 생각했습니다.
특히 거주자가 외부 인을 인식하지 못하도록 하는 대규모건물을 비평하고, 프로젝트지구내의 범죄에 대한 통계적 분석으로 이를 뒷받침했습니다.
또한 익명성을 줄이고 감시를 증가시키고, 범죄자에 대한 도주로를 감소시킴으로써 방어공간을 창출할 수 있다는 설계제안을 했습니다.
- 범죄를 억지하는 네 가지 방어적 공간요소(물리적 디자인요소)
① 자연적 감시
[자기영역을 감시할 수 있는 주민의 능력, 거리의 눈(Neighborhood watch)]
② 영역성(자기소유의 관념→ 공공구역과 구별)
③ 지역 이미지
④ 입지조건(안전한 지역에 인접한 위치 등)
★ 이들은 단독 또는 결합하여 지역의 범죄억제에 영향을 미쳐 안전한 환경조성에 기여 한다고 강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