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강구조 계획의 부분입니다.
1. p.296-5번.
[ 고층 건물의 구조방식이 모멘트골조인 경우 횡하중에 의한 횡변위를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답: (다) ]
(가)기둥의 단면적을 증가시킨다.
(다)기둥의 단면2차모멘트를 증가시킨다.
Q. (가)보다는 (다)가 적당한 방법일 것 같다는 생각은 드는데, 정확한 이유가 있나요?
2. p.297-10번.
[ 전단지연(Shear Lag) 현상을 고려햐야 하는 초고층 구조시스템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답: 골조튜브 시스템 ]
해설 내용:

Q. 보에 휨이 생긴 것을 '스팬드럴 보'라고 하는 것인가요??
'전단변형'에서 전단이 파단의 의미인데, '전단변형'으로 휨이 생겼다는 것과
'전단지연 현상'의 의미도 "전단을 지연시킨다"는 의미는 아닌가요??
스팬드럴 보는 왜 있는 것이고, 전단변형과 전단지연을 이해하기가 어렵습니다...
3. p.298-12번.
[ 초고층 건축 구조시스템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부적합한 것은? ]
답: 아웃리거 시스템에서는 전도모멘트를 코어가 주로 부담한다.
해설: 외곽기둥이 주로 부담한다.
교재 p.291의 '아웃리거 가새골조' 내용에서
"1. 벨트러스라고도 하며, 가새구조로 된 내부골조를 외곽기둥과 연결시키는 수평캔티레버로 구성"
->Q. 내부골조를 외곽기둥과 연결하기 때문에
'코어'가 아닌 '외곽기둥'이 주로 부담한다고 이해하나요??
(추가적인 아웃리거 내용으로
"2. 기둥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성이 큰 수평캔틸레버는 고층 건물에서 발생하는 기둥의
부등축소량(칼럼 쇼트닝)에 의한 강제변위 발생에 의해 큰 부가응력이 발생할 수 있음"
->Q.큰 부가응력이 발생한다는게 구조적으로 취약해진다는 말인가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