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 1) p. 73
[ 단면2차 극모멘트- 주요 특징: 단면2차 극모멘트는 좌표축의 회전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하다. ]
Q. 항상 일정하다는 것이
정사각형, 정삼각형, 원형, 정다각형 등과 같이 대칭인 단면일 때를 말하나요??
-----------------------------------------------------------------------------
(질문 2) p. 343- 3번
[ 오일러 좌굴하중에 관한 설명: 양단고정인 경우가 단순지지보다 4배 크다. ]
Q. 여기서 말하는 단순지지가 양단힌지를 말하고(단순지지라는게 한쪽은 회전단이고 한쪽은 이동단으로 기억하고 있어서 혼돈이 왔습니다..)
p.343-5번-(가)지문은 양단힌지 지점의 방향이 바뀌어도 상관이 없나요??
-----------------------------------------------------------------------------
(질문 3) p. 343- 4번
[ H형강에 대한 설명: 좌굴하중은 B축이 크다. ]
Q. 그림에서 양쪽에 플랜지 가운데, 웨브 하나라서
A축이 플랜지를 양쪽에 갖고 있어서 “(플랜지 두께)*(플랜지 길이의 3승)”으로 ‘강축’이 되는 것이 아닌가요...??
-----------------------------------------------------------------------------
(질문 4) p.350- 36번
[ 강구조 압축재 설계에 대한 해설. ]
Q. “탄성좌굴영역의 좌굴강도 Fcr은 ‘고강도 강재’를 사용한다고 해서 공칭압축강도가 향상되지는 않는다.”에서
고강도 강재가 E(탄성단면계수)를 의미하고 이는 205,000Mpa로 동일해서 그런가요??
-----------------------------------------------------------------------------
(질문 5) p.350-38번
[ 강구조에 대한 기술: 하중점스티브너, 지점의 스티프너는 상하 플랜지에 밀착시켜야 한다. ]
Q. 웨브에도 밀착시키나요??
-----------------------------------------------------------------------------
(질문 6) p. 359- 17번
[ 강구조의 부재설계에 대한 설명 중 부적합한 것은?
: 휨재의 횡좌굴은 강축방향으로 발생한다. ]
Q. 휨재의 압축플랜지(웨브?)가 갑자기 하중면의 직각방향으로 횡방향 좌굴이 발생한다가 맞는 말인가요??
그리고, 강축방향으로 발생한다는 말은 기둥에서만 쓰이는 말인가요.??
----------------------------------------------------------------------------
(질문 7) p.367.
[ 합성기둥- “강재 단면적은 총단면적의 1%이상” ]
Q. 여기서 말하는 강재는 합성기둥을 감싸는 각형이나 원형의 강관이 아니라
그 안에 있는 철근과 강재를 말하나요??
-----------------------------------------------------------------------------
정말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