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 시험정보
  • 학원강의

    2019 개강

  • 온라인강의

    2019 수강신청

  • 모의고사
  • 교재안내
  • 학습게시판
  • 나의강의실
학습게시판

학습Q&A

HOME>학습게시판>학습Q&A

글보기
제목
건축구조.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건축사예비 건축구조(~2019.08.05) > 안광호
글쓴이 백*규 등록일 2018.03.01 답변상태 답변완료
  • (질문 1) p. 73

    [ 단면2차 극모멘트- 주요 특징: 단면2차 극모멘트는 좌표축의 회전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하다. ]

    Q. 항상 일정하다는 것이

    정사각형, 정삼각형, 원형, 정다각형 등과 같이 대칭인 단면일 때를 말하나요??

     

    -----------------------------------------------------------------------------

    (질문 2) p. 343- 3번

    [ 오일러 좌굴하중에 관한 설명: 양단고정인 경우가 단순지지보다 4배 크다. ]

    Q. 여기서 말하는 단순지지가 양단힌지를 말하고(단순지지라는게 한쪽은 회전단이고 한쪽은 이동단으로 기억하고 있어서 혼돈이 왔습니다..)

    p.343-5-()지문은 양단힌지 지점의 방향이 바뀌어도 상관이 없나요??

     

    -----------------------------------------------------------------------------

    (질문 3) p. 343- 4번

    [ H형강에 대한 설명: 좌굴하중은 B이 크다. ]

    Q. 그림에서 양쪽에 플랜지 가운데, 웨브 하나라서

    A축이 플랜지를 양쪽에 갖고 있어서 “(플랜지 두께)*(플랜지 길이의 3)”으로 강축이 되는 것이 아닌가요...??

     

    -----------------------------------------------------------------------------

    (질문 4) p.350- 36번

    [ 강구조 압축재 설계에 대한 해설. ]

    Q. “탄성좌굴영역의 좌굴강도 Fcr고강도 강재를 사용한다고 해서 공칭압축강도가 향상되지는 않는다.”에서

    고강도 강재가 E(탄성단면계수)를 의미하고 이는 205,000Mpa로 동일해서 그런가요??

     

    -----------------------------------------------------------------------------

    (질문 5) p.350-38번

    [ 강구조에 대한 기술: 하중점스티브너, 지점의 스티프너는 상하 플랜지에 밀착시켜야 한다. ]

    Q. 웨브에도 밀착시키나요??

     

    -----------------------------------------------------------------------------

    (질문 6) p. 359- 17번

    [ 강구조의 부재설계에 대한 설명 중 부적합한 것은?

    : 휨재의 횡좌굴은 강축방향으로 발생한다. ]

    Q. 휨재의 압축플랜지(웨브?)가 갑자기 하중면의 직각방향으로 횡방향 좌굴이 발생한다가 맞는 말인가요??

    그리고, 강축방향으로 발생한다는 말은 기둥에서만 쓰이는 말인가요.??

     

    ----------------------------------------------------------------------------

    (질문 7) p.367.

    [ 합성기둥- “강재 단면적은 총단면적의 1%이상” ]

     

    Q. 여기서 말하는 강재는 합성기둥을 감싸는 각형이나 원형의 강관이 아니라

    안에 있는 철근과 강재를 말하나요??

    -----------------------------------------------------------------------------

    정말 감사합니다 ^^**

     

  • 안광호 |(2018.03.02 10:53)

    안녕하세요,,,질문하신 내용에 대한 답변입니다.

    (1) 대칭 단면일 때만이 아니라 비대칭일 때도 성립되며, 어떤 도형일지라도 성립되는 내용입니다.

    (2) 양단힌지 또는 양단핀이라는 표현을 단순지지라는 표현으로도 사용한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고정단이 양쪽 다 아니라는 표현 정도인데, 좋은 표현이라고 볼 수는 없습니다.

    삼각형으로 표시된 회전지점이 옆으로 되어 있든 나번처럼 세워져있든 달라질 것은 없습니다.

    (3) A축이 강축이라면 B축은 약축이 되어야 할 것이며 가번, 나번, 다번도 정답이 될 것입니다.

    그림상의 단면에서 B축이 강축이라는 것은 강구조의 상식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4) 탄성계수의 영향이라기보다는 고강도강재를 사용함으로서 Fy라는 항복강도와 영향이 없다는 쪽이 더 어울리는 표현이 될 것입니다.

    (5) 스티프너는 수직재이므로 수평의 부재와 밀착해야 효과가 나오는 것이라고 보시면 되며, 웨브에 밀착한다는 표현은 수평스티프너에 해당되는 내용이 되겠습니다.

    (6) 휨재의 횡좌굴은 약축방향으로, 기둥부재의 좌굴은 강축방향으로 이해하셔도 상관없겠습니다.

    (7) 그렇습니다.

    합성기둥은 기본적으로 외부의 단면이 콘크리트이며 내부에 철근과 강재류가 배치된 형태를 말합니다.

    감사합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