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가 와서 날씨가 쌀쌀한데, 감기 조심하시고요^^.
구조에 흥미를 붙일 수 있게 해주셔서 항상 감사드립니다.
-------------------------------------------------------------------------------------
(0) p.32 35번 '해설 (3)'의 내용.
Q. 해설의 내용 중 "Rb= + 10√2kN( ↖ )" 인데, 반대 방향이면 ' ㅡ '부호인가요???
-------------------------------------------------------------------------------------
(1) p.56 절점법- 해석 요령 "미지의 부재력이 2개가 넘지 않는 절점을 찾아"
Q. 미지의 부재력을 이렇게 표시해봤는데.. 이렇게 이해하나요..???


-------------------------------------------------------------------------------------
(2) p.64- 19번.

Q. 양쪽 절점에 수평하중 P가 작용해서 좌측의 회전지점에 수평반력이 0인가요???
-------------------------------------------------------------------------------------
(3) p.64- 22번.
"그림과 같은 트러스에서 CF부재의 부재력은?"
Q. 수평으로 절단한는 경우, 수평 전단력으로 구하나요???
-------------------------------------------------------------------------------------
(4) p.96- 32번
Q.최대 휨모멘트의 위치는 캔틸래버보의 경우 A부위에서만 나타나나요???
-------------------------------------------------------------------------------------
(5) p.136- 예제4 '해설 내용'
"수직반력의 산정-
하중M과 모멘트 반력 M/2는 똑같은 시계방향이 된다는 것을 반드시 상기해야 한다."
Q.여기서 말하는 '하중M과 모멘트 반력 M/2는 똑같은 시계방향'은
고정단 모멘트가 부재 양단에 작용하여 부재를 휘게 하는 모멘트이기 때문인가요???
( 캔틸래버보의 자유단에 시계방향의 모멘트 하중이 작용할 때,
고정단에서는 반시계방향의 모멘트 반력이 생기는 것에서 혼돈이 왔습니다.. )
-------------------------------------------------------------------------------------
(6) p.142-18번 해설에서 말하는 '절점방정식(∑Mb=0)'과
p.135-우측의 '절점방정식{모멘트 평형조건식(Mo=Moa+Mob+Moc)}의 내용
Q. 절점방정식이라는게,
'구조물의 평형 3조건식'에서 쓰는 (∑M=0)과 같은 뜻인가요???
그래서 'p.135-우측'의 내용도
Mo=Moa+Mob+Moc=0으로 " =0 "을 추가해서 봐도 무관하나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