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1))) 해설에서 “부재치수가 큰 만큼, 건조가 진행하지 않아 수축은 작아진다.”는 것과
지문에서 “부재의 단면치수가 작을 경우” 건조가 징해되어 수축은 커진다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바닥의 경우 블리딩으로 인한 표면의 증발면에서 보면,
부재의 단면치수가 작은 것이 내부 외부의 온도차이가 덜하여 건조수축이
작은 것 아닌가요...?
질문2))) 지문에서 “흡수량이 높은 골재일 경우”가
[ 건조수축을 일으키는 요인으로 가장 부적당하다.]로 정답인데,
이 부분이 도저히 이해가 안갑니다...
흡수량이 높은 경우에는 콘크리크 내부의 물을 흡수하는 것이 커진다는 말인데,
오히려 건조수축을 일으키는 것이 아닌지요...
질문3))) 또한 해설에서 (10)번 내용에 대해서 교재를 찾아보면
“사암은 흡수율이 높고, 점판암은 흡수성이 작다.”라고 나옵니다... 이건 또 왜 그런가요...

—————————————————————————————————————

질문4))) 해설에서 말하는 1m3 콘크리트의 개산 재료량은
교재 p.554 “1:2:4 콘크리트 1m3를 만드는데 필요한 재료량”을 의미하나요???
그렇다면, 해설에 나와있는 철근120kg은
교재에 나와있는 철근125kg하고 같다고 보나요???
감사합니다!!!!!!!^^*